바다낚시 왕보초를 위한 감성돔 낚시 목줄의 길이

반응형

바다낚시 왕보초를 위한 감성돔 낚시 목줄의 길이 

오늘은 왕초보 감성돔 낚시인을 위해 감성돔 낚시를 할 때 사용하는 원줄과 목줄의 굵기와 길이에 재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우선 감성돔 낚시를 위한 릴 찌 낚싯대는 가장 이상적인 1호대 530이 최적입니다. 단 너무 낭창거리는 연질대가 아닌 일반 경질대의 낚싯대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쉽게 말해 연질대는 조그마한 고기를 걸어도 완전 U자의 휨새를 보이는 낚싯대라서 초보자들이 조작하기에 원활하지 못한 점이 많습니다. 그러니 일반 경질대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원줄의 선택  - 2호 3호

2호와 3호를 나누는 기준은 줄의 두께입니다. 두께가 굵을수록 높은 숫자로 표시하는데 원투용에 쓰이는 줄은 대게 5~6호 줄을 사용합니다. 비례해서 릴에 감기는 원줄의 길이 즉 권사량이 달라집니다. 얇은 줄을 감으면 두꺼운 줄을 감는 것보다 많은 양(길이)의 원줄을 감을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투용 원줄은 작은 릴에 감으면 얼마 감지 못하므로 크고 두터운 릴을 이용해서 원줄을 감아야 많은 원줄을 감을 수 있기에 원투용 릴은 5,000번 이상의 릴을 사용합니다.

 

원줄은 3호를 선택하시는 게 가장 무난합니다. 경험자들은 2호 줄도 충분하다고 하실 건데 네 맞습니다 충분합니다만 초보자는 3호 줄을 선택하시는 게 낫습니다. 이제 막 입문한 초보분들이 낚시를 하게 되면 바다에는 여러 가지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갯바위를 기준으로 발 밑에는 홍합, 굴, 따개비 등의 날카로운 장애물이 이 있고 물속에도 원줄과 목줄의 안전을 위협하는 날카로운 장애물들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2호보다는 3호의 원줄을 추천하는 것입니다. 낚시를 하다 보면 물의 흐름과 원줄의 위치를 놓치게 되면 가끔 장애물들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무리하게 털어 내다보면 원줄이 절단되는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3호 줄이라도 안심하지 말고 항상 물 흐름을 읽고 바람을 극복하면서 원줄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목줄의 재질과 선택 - 1.5호 1.7호 2.0호 

목줄을 선택할 때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먼저 재질로는 카본줄과 나일론 줄이 있습니다. 가격대가 비싼 카본줄의 특성은 장애물을 스치면서 발생하는 상처에 강합니다. 그래서 사용하다 보면 목줄에 상처가 나도 쉽게 끊어지지 않고 면직물에서 보풀이 일어나듯이 카본줄은 목줄에 살짝 보풀이 일어나면서도 하중을 이겨냅니다. 반면 나일론 줄은 상처에 약합니다. 날카로운 굴, 홍합, 따개비를 스치거나 바닷속 갯바위에 쓸리거나 걸렸을 때 당기면 쉽게 끊어집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카본줄이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목줄이 끊어져야 할 때는 끊겨줘야 합니다. 그때는 바로 바늘에 바닥에 걸렸을 때입니다. 강한 카본줄이 바닥에서 버티면 결국 원줄을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나일론 줄은 어느 정도 버티다가 원줄 훼손 없이 잘라지면서 채비를 보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목줄의 두께에는 1.5호 1.7호 2호의 목줄을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설명했듯이 숫자는 두께입니다. 대물 잡을 시기니까 채비가 튼튼해야 한다 싶으면 2호 줄을 선택할 수 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1.5호나 1.7호 목줄로도 충분히 대물 제압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잘 모르겠다 싶으면 1.5호 1.7호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튼튼한 2호 줄은 바닥 걸림 발생 시 원줄 훼손이 빈번해서 재빨리 채비 원상 복구할 자신이 없으면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을 겁니다.

감성돔낚시 목줄의 길이

경험자들은 목줄을 아주 길게 사용합니다. 보통은 3미터 혹은 그 이상 4미터 넘게 사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길게 사용해야 자연스러운 미끼 움직임의 유혹으로 쉽게 입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줄을 길게 쓰면 힘을 받았을 때 늘어나는 길이로 인해 탄성만으로도 릴 조작 없이 감성돔의 힘을 조금은 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길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낚시 현장에 있습니다. 그러나 채비 채비 조작이 다소 어려운 초보분들은 목줄을 3미터 이상 길게 사용할 경우 채비 투척도 어렵고 고기가 물었을 때 고기는 저 밑에 있는데 찌까지 혹은 찌 넘어까지 감아버려서 초릿대 끝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초보 분들은 수심대비 목줄의 길이를 선택하시면 되는데 5미터 이내의 수심에서는 2미터 이내의 목줄을 사용하시고 그 이상의 수심에서는 목줄 3미터를 사용할 때 수시로 채비를 확인 또 확인하면서 숙달해서 초릿대 파손 사고를 방지해야 합니다.

 

  • 조류가 빠르거나 너울이 높을 경우 목줄을 짧게 사용하는 게 채비 운용에 유리합니다.
  • 목줄이 길 경우 뒷줄 견제 시 힘이 미끼에 전달되지 않아 채비를 운용하기가 까다롭게 됩니다.
  • 입질이 예민하다고 보이면 목줄을 짧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미끼는 없어지는데 입질이 없을 경우에도 목줄을 짧게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낚시 포인트가 협소해서 채비 운용이 쉽지 않을 경우에도 짤게 바꿔줄 필요가 있습니다.
  • 막대찌채비시 목줄을 짧게 쓰는 게 좋습니다. 목줄이 길면 채비가 자주 엉킵니다.
  • 잡어가 많으면 미끼가 바닥층에 빨리 내려가지 않으므로 목줄을 짧게 해서 빨리 채비를 내리도록 합니다.
  • 생활낚시 즉 근거리 방파제나 도보 갯바위 등에서는 2미터 이내의 목줄로도 충분합니다.
  • 수심 2~3미터에서도 대물 나옵니다. 당연히 목줄은 2미터 이내로 짧습니다.
반응형